Skip to content
Back to Blog
#주식 #STX엔진 #조선 #방산 #선박엔진 #K방산 #이중연료엔진

STX엔진(077970) 정밀 분석 - 조선·방산 동시 수혜주의 실체와 투자 전략

5 min read

STX엔진 완전 분석. 조선 호황과 K-방산 수출로 실적 개선 중인 선박용 엔진 전문기업의 성장 전망, 증권사 목표가 41,000원, 리스크 요인을 객관적으로 분석합니다.

📋 핵심 내용 요약

  • 종목명: STX엔진 (077970)
  • 현재 주가: 약 39,550원 (2025년 10월 기준)
  • 시가총액: 약 7,246억원
  • 2025 상반기 실적: 매출 12.8% ↑, 영업이익 70.8% ↑, 순이익 120.4% ↑ (YoY)
  • 증권사 목표주가: 신영증권 41,000원 (2025년 8월)
  • 주요 사업: 선박용 엔진(42.9%), 방산용 엔진(41.9%), 전자통신(15.2%)

🤖 AI 요약

STX엔진은 선박용 저속 디젤엔진과 방산용 엔진을 제조하는 한국의 중견 엔진 전문기업입니다. 2025년 들어 조선 산업 호황과 K-방산 수출 확대로 실적이 급격히 개선되고 있습니다.

투자 논리: 글로벌 조선 발주량 증가로 선박용 엔진 수요가 폭증하고 있으며, 특히 친환경 LNG 이중연료엔진 형식승인으로 신규 수주 모멘텀이 확보되었습니다. 방산 부문은 K9 자주포용 엔진 국산화 성공 후 호주 레드백 장갑차 수출(840억원) 등으로 실적 기여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.

실적 모멘텀: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127% 증가, 2분기 53.2% 증가로 강한 실적 개선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 연간 매출 7,826억원(8% 증가), 영업이익 464억원(9.8% 증가) 전망입니다.

리스크 요인:

  • 국내 시장점유율 10% 수준으로 HD현대(60%), 한화엔진(30%) 대비 열세
  • HD현대의 STX중공업 인수로 시장 경쟁 심화 가능성
  • 조선 사이클 하락 시 수주 급감 위험
  • 한화엔진의 STX엔진 인수 루머로 불확실성 존재

투자 판단: 현재 주가 약 39,550원은 목표주가 41,000원 대비 약 3.7% 상승 여력이 있으나, 이미 상당 부분 상승한 상태입니다. 조선·방산 동시 수혜주로서의 매력은 있으나, 시장점유율 열세와 M&A 불확실성이 리스크 요인입니다.


1. 기업 개요

STX엔진 기본 정보

티커: 077970 (KOSPI) 업종: 선박 및 보트 건조업 > 선박용 엔진 제조 설립: 1976년 (구 STX중공업 엔진 부문 분할)

주요 제품:

  1. 선박용 저속 디젤엔진 (민수 사업)

    • 대형 컨테이너선, 탱커, 벌크선용 주기관
    • LNG 이중연료엔진 (친환경 엔진)
    • 연간 생산능력: 약 100만 마력
  2. 방산용 디젤엔진 (특수 사업)

    • K9 자주포용 엔진
    • K2 흑표 전차용 엔진
    • 장갑차용 엔진
  3. 선박용 발전엔진 및 전자장비

주요 생산 시설:

  • 창원 본사 공장 (경남 창원시)
  • 연간 생산 능력: 저속엔진 약 100만 마력

2. 2025년 실적 분석

분기별 실적 추이

구분 2025 Q1 2025 Q2 2025 상반기
매출 1,391억원 2,137억원 3,528억원
영업이익 155억원 333억원 488억원
전년 대비 매출 증가율 +20% +8.3% +12.8%
전년 대비 영업이익 증가율 +127% +53.2% +70.8%
당기순이익 증가율 - - +120.4%

2025년 연간 전망

증권사 컨센서스 (신영증권 기준):

  • 매출액: 7,826억원 (전년 대비 +8%)
  • 영업이익: 464억원 (전년 대비 +9.8%)
  • 영업이익률: 약 5.9%

실적 개선 요인

1. 민수 사업 (선박용 엔진) - 매출 비중 42.9%

  • 글로벌 컨테이너선·탱커 발주량 증가
  • LNG 이중연료엔진 형식승인 완료 (2025년 4월)
  • 국내 대형 조선소 2곳에 이중연료 발전엔진 95억원 이상 수주

2. 특수 사업 (방산용 엔진) - 매출 비중 41.9%

  • K9 자주포 디젤엔진 국산화 성공 (2024년)
  • 2025년 3월 호주 레드백 장갑차용 엔진 840억원 계약
    • 기술이전 포함, 2027년까지 공급
  • 방산 수주: 2019-2022년 연평균 225~260억원 → 2023년 338억원 → 2025년 Q1만 196억원

3. 전자·통신 사업 - 매출 비중 15.2%


3. 핵심 성장 동력

🚢 조선 산업 슈퍼사이클

글로벌 조선 발주 급증:

  • 2023-2024년 컨테이너선·탱커 발주 폭증
  • 친환경 규제(IMO 2030) 강화로 노후 선박 교체 수요 증가
  • 국내 3대 조선사 (HD현대중공업, 삼성중공업, 한화오션) 수주 잔고 역대 최고치

STX엔진 수혜:

  • 국내 조선사 발주 증가 → 선박용 엔진 수주 직접 연동
  • 이중연료엔진 형식승인으로 차세대 엔진 시장 진입

🎖️ K-방산 수출 확대

방산 수출 급증:

  • 폴란드, 호주, 루마니아 등 K-방산 수출 러시
  • K9 자주포 수출 증가 → STX엔진 공급 물량 증가
  • K2 전차 수출 가시화 시 추가 수혜 기대

STX엔진 방산 실적:

  • 2025년 Q1 방산 수주 196억원 (전년 동기 대비 급증)
  • 호주 레드백 장갑차 840억원 계약 (2025-2027)
  • 방산 매출 비중 41.9%로 민수와 양대 축

🌱 친환경 엔진 전환

LNG 이중연료엔진:

  • 2025년 4월 ‘L35/44DF CD’ 형식승인 완료
  • 기존 디젤 대비 CO2 20% 감축, SOx 99% 감축
  • 국내 대형 조선소 2곳 이상 95억원 수주 (2025년 4월)

시장 전망:

  • IMO 2030/2050 탄소 감축 목표로 친환경 엔진 의무화
  • 소규모 LNG 시장 CAGR 10.4% 성장 전망 (2024-2029)
  • 2025년 상반기에만 87척의 LNG 이중연료 선박 신규 주문 (전년 동기 53척 대비 64% 증가)

4. 시장 지위 및 경쟁 구도

국내 선박용 엔진 시장 점유율

업체 점유율 비고
HD현대중공업 약 60% 세계 1위 (글로벌 35%)
한화엔진 약 30% 세계 2위 (글로벌 13%)
STX엔진 약 10% 국내 3위 (글로벌 5%)

경쟁 환경

1. HD현대의 STX중공업 인수 (2024년)

  • HD현대가 STX중공업을 인수하며 국내 시장점유율 70~80%로 확대
  • STX엔진은 별도 법인으로 독립 유지 (HD현대 인수 대상 아님)
  • HD현대중공업 엔진기계사업부와의 경쟁 심화 가능성

2. 한화엔진의 STX엔진 인수 루머 (2025년)

  • 조선 호황기에 한화엔진이 STX엔진 인수 검토 보도 (2025년 5월)
  • 결과: 한화엔진이 “비싼 몸값”에 인수 포기 (2025년 하반기)
  • 유암코(STX엔진 지주사)의 진퇴양난 상황

3. 경쟁 우위 요소

  • ✅ K9 자주포 엔진 국산화로 방산 시장 진입 성공
  • ✅ 이중연료엔진 형식승인으로 친환경 엔진 시장 진입
  • ❌ 시장점유율 10% 수준으로 규모의 경제 불리
  • ❌ HD현대·한화 양강 구도에서 3위 업체로 입지 불안정

5. 밸류에이션 분석

현재 밸류에이션

주가: 약 39,550원 (2025년 10월 말 기준) 시가총액: 약 7,246억원 발행주식수: 약 4,015만주 (2025년 9월 기준)

주요 지표:

  • PER: 약 15.6배 (2025년 예상 EPS 기준)
  • PBR: 약 1.2배
  • 배당수익률: 약 1.5%

증권사 목표주가

증권사 목표주가 날짜 투자의견
신영증권 41,000원 2025년 8월 BUY → HOLD
(과거) 신영증권 29,000원 → 27,000원 2025년 4월 BUY (하향)

신영증권 코멘트 (2025년 8월):

“실적은 좋은데 주가 상승 여력 부족…목표가 ↑ 투자의견 ↓”

  • 목표가 상향: 28,000원 → 41,000원 (방산 수출 확대 반영)
  • 투자의견 하향: BUY → HOLD (이미 주가 상승으로 상승 여력 제한적)

적정 밸류에이션 시나리오

보수적 시나리오 (35,000~38,000원):

  • 조선 사이클 정점 후 수주 감소 가정
  • 방산 수출 둔화
  • PER 12-13배 적용

기본 시나리오 (40,000~45,000원):

  • 조선 호황 지속 (2026년까지)
  • 방산 수출 계획대로 진행
  • PER 14-16배 적용

낙관적 시나리오 (50,000~55,000원):

  • 조선 사이클 연장 (2027년 이후까지)
  • K-방산 수출 급증 (K2 전차 등)
  • 친환경 엔진 수주 확대
  • PER 18-20배 적용 (성장주 프리미엄)

현재 위치 (39,550원): → 보수적 시나리오 상단 ~ 기본 시나리오 하단


6. 주요 리스크 요인

1️⃣ 시장점유율 열세

현황:

  • 국내 3위 (약 10% 점유율)
  • HD현대 60%, 한화엔진 30% vs STX엔진 10%

리스크:

  • 규모의 경제 불리로 원가 경쟁력 약화
  • 대형 프로젝트 수주 경쟁에서 불리
  • HD현대·한화 양강 구도에서 생존 불확실성

2️⃣ 조선 사이클 하락 위험

조선 산업 특성:

  • 3~5년 주기 변동성 큼
  • 현재 2023-2025년 호황기
  • 2026-2027년 사이클 정점 후 하락 가능성

STX엔진 영향:

  • 조선 발주 감소 → 선박용 엔진 수주 급감
  • 민수 사업 비중 42.9%로 직접 타격

3️⃣ M&A 불확실성

한화엔진 인수 루머:

  • 2025년 5월 한화엔진의 STX엔진 인수 검토 보도
  • 2025년 하반기 “비싼 몸값”에 인수 포기
  • 유암코(지주사)의 매각 압박 지속 가능성

주주 영향:

  • M&A 성사 시 프리미엄 기대 vs 실패 시 불확실성 지속
  • 경영권 불안정으로 장기 투자 계획 불투명

4️⃣ 경쟁 심화

HD현대의 STX중공업 인수 후:

  • HD현대 엔진 사업부 시장점유율 70~80%로 확대
  • STX엔진에 대한 압박 증가 가능성
  • 가격 경쟁 심화

5️⃣ 방산 수출 불확실성

방산 수출 변동성:

  • 정치·외교적 변수에 민감
  • 호주 레드백 계약 지연 or 취소 가능성
  • K9·K2 수출 물량 변동

7. 투자 포인트 및 전략

✅ 투자 매력 포인트

1. 조선·방산 동시 수혜

  • 민수(42.9%) + 방산(41.9%)으로 양대 성장 동력 확보
  • 조선 사이클 하락기에도 방산으로 버팀목 가능

2. 실적 개선 가시성

  • 2025년 상반기 영업이익 70.8% 증가
  • 수주 잔고 증가로 2026년 실적 가시성 확보

3. 친환경 엔진 모멘텀

  • 이중연료엔진 형식승인으로 차세대 시장 진입
  • IMO 규제 강화로 장기 성장 가능성

4. 저평가 가능성

  • PER 15.6배는 경쟁사 대비 낮은 수준
  • M&A 프리미엄 기대

❌ 투자 주의 포인트

1. 시장점유율 열세

  • 국내 3위로 생존 불확실성

2. 조선 사이클 정점 근접

  • 2026-2027년 사이클 하락 시 수주 급감 위험

3. M&A 불확실성

  • 한화엔진 인수 실패 후 향방 불투명

4. 증권사 투자의견 하향

  • 신영증권 BUY → HOLD (상승 여력 제한적)

8. 시나리오별 투자 전략

📊 시나리오 1: 단기 트레이딩 (Hold)

전제:

  • 조선·방산 호황 지속 (2026년까지)
  • 현재 주가 39,550원 → 목표가 41,000원 (+3.7%)

액션:

  • 현재 보유 시 목표가 41,000~45,000원까지 보유
  • 40,000원 돌파 시 일부 매도 고려
  • 손절 라인: 35,000원 (보수적 시나리오 하단)

리스크:

  • 상승 여력 제한적 (증권사도 투자의견 하향)
  • 조선 사이클 정점 근접

📊 시나리오 2: 중기 보유 (Buy on Dip)

전제:

  • 2026년까지 조선·방산 호황 지속
  • 이중연료엔진 수주 확대
  • 조정 시 매수 기회 활용

액션:

  • 37,000~38,000원 조정 시 분할 매수
  • 목표가: 45,000~50,000원
  • 보유 기간: 6개월~1년

리스크:

  • 조선 사이클 예상보다 빠른 하락
  • M&A 불발로 불확실성 지속

📊 시나리오 3: 장기 투자 (Wait & See) ⚠️ 신중 필요

전제:

  • 3~5년 장기 관점
  • M&A 성사 or 독자 생존 시나리오

액션:

  • 현재 가격에서는 관망 권장
  • 30,000원대 중반 이하 조정 시 매수 검토
  • 목표: M&A 프리미엄 or 친환경 엔진 시장 본격 성장

리스크:

  • 시장점유율 10%로 장기 생존 불확실
  • 조선 사이클 하락기 버티기 어려울 수 있음

📊 시나리오 4: M&A 이벤트 투자 (Speculative)

전제:

  • 한화엔진 또는 타 업체의 재차 인수 시도 기대
  • M&A 프리미엄 노려보기

액션:

  • 소량 분할 매수 (포트폴리오 3~5% 이하)
  • M&A 뉴스 발생 시 즉시 매도
  • 손절 라인: 35,000원

리스크:

  • M&A 불발 시 장기 보유 부담
  • 투기적 투자로 손실 위험 큼

9. 투자 체크리스트

✅ 투자 전 반드시 확인할 사항

1. 조선 사이클 모니터링

  • 글로벌 조선 발주량 추이 확인 (Clarkson 데이터 등)
  • 국내 3대 조선사 수주 잔고 추이
  • 선박 발주 가격 및 조선소 가동률

2. 방산 수출 현황

  • K9 자주포 수출 물량 확인
  • K2 전차 수출 계약 체결 여부
  • 호주 레드백 계약 이행 상황

3. 분기 실적 발표

  • 3분기 실적 발표 (11월 예정) 확인
  • 수주 잔고 증감 추이
  • 영업이익률 개선 지속 여부

4. M&A 관련 뉴스

  • 한화엔진 또는 타 업체 인수 재추진 여부
  • 유암코(지주사) 매각 의지
  • 대주주 지분 변동

5. 경쟁사 동향

  • HD현대 엔진 사업부 수주 현황
  • 한화엔진 실적 및 수주
  • 시장점유율 변화

10. 결론: 현명한 투자 판단 가이드

객관적 평가

STX엔진은 중위험-중수익 투자입니다.

장점:

  • 조선·방산 동시 수혜로 2025년 실적 강한 개선세
  • 이중연료엔진 형식승인으로 친환경 시장 진입
  • 방산 수출 확대로 수익원 다각화
  • PER 15.6배로 적정 밸류에이션

단점:

  • 국내 시장점유율 10%로 생존 불확실성
  • 조선 사이클 정점 근접 (2026-2027 하락 위험)
  • M&A 불확실성 (한화엔진 인수 무산 후 향방 불투명)
  • 증권사 투자의견 하향 (BUY → HOLD)
  • HD현대·한화 양강 구도에서 입지 약화 가능성

투자 권장 전략

포트폴리오 비중별 권장:

비중 전략 목표
3% 이하 단기 트레이딩 목표가 41,000~45,000원
3-5% 중기 보유 (조정 시 매수) 6개월~1년 보유
5-10% M&A 이벤트 투자 (투기적) M&A 프리미엄 노리기
10% 이상 ⚠️ 비추천 과도한 집중 위험

매수 타이밍

✅ 좋은 매수 시점:

  • 37,000~38,000원 조정 시 (보수적 시나리오 중간값)
  • 조선 사이클 하락 우려로 급락 시 (33,000~35,000원)
  • M&A 루머로 급등 후 조정 시

❌ 피해야 할 매수 시점:

  • 현재 가격 39,550원 (목표가 41,000원으로 상승 여력 3.7%)
  • 조선 발주량 급감 뉴스 발생 시
  • M&A 불발 확정 시

마지막 조언

“조선·방산 슈퍼사이클의 수혜주이지만, 3위 업체의 한계는 명확합니다.”

  • STX엔진은 2025년 실적 개선이 뚜렷하고 조선·방산 동시 수혜를 받고 있으나, 시장점유율 10%로 장기 생존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.
  • HD현대·한화 양강 구도에서 M&A 없이는 독자 생존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
  • 2026-2027년 조선 사이클 정점 이후 하락기를 버틸 수 있을지가 핵심 변수입니다.

투자 원칙:

  1. 📊 포트폴리오 5% 이하로 비중 관리 (중소형주 리스크)
  2. 🎯 목표가 41,000~45,000원 달성 시 이익 실현 고려
  3. 📉 손절 라인 35,000원 설정 필수 (보수적 시나리오 하단)
  4. 📰 M&A 뉴스 모니터링 필수 (이벤트 발생 시 전략 변경)
  5. 🔍 분기 실적 발표 주시 (수주 잔고 확인)

참고 자료


중요 공지

면책 조항: 이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. 모든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이며, 투자 전 반드시 재무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.

리스크 경고: 조선·방산 관련 주식은 경기 사이클과 정치·외교적 변수에 민감합니다. M&A 불확실성과 시장점유율 열세로 인한 리스크가 큽니다.

최신 정보 확인: 이 글은 2025년 10월 31일 기준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3분기 실적 발표 (11월 예정) 및 M&A 관련 뉴스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
“In investing, what is comfortable is rarely profitable.” - Robert Arnott

이 글 공유하기

💡 LifeTech Hub

삶을 업그레이드하는 기술과 지혜 - 재테크, 개발, AI, IT, 일상생활

Quick Links

Connect

© 2025 LifeTech Hub. Built with 💜 using SvelteKit

Privacy Terms RSS